작성 방법

약간,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같은육하 원칙에 따라 소개한거 같음.

  1. 저자 소개
    • 제 1 저자의 현 직업, 학력 등?
  2. 저자가 작성했던 내용에 대한 소개
    • 주 연구 분야가 어떤건지.
  3. 논문에 대한 Background 소개
    • 논문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소개
    • ex) BGP, AS, BlockChain’s Block
  4. 왜 필요한지?
    • Need for de-anonymization ? 잘 안되는 예시도 들수있고, 이를 반대로 생각하여 어떻게 해야한다.
    • 당위성에 대한 내용.
  5. System Overview ( 전체 시스템의 요약본 )

  6. Feature Extraction ( 그리고 시스템에 대한 구성요소 및 그 자세한 과정에 대한 설명 )

  7. 그리고 각 feature 들에 들어가는 자세한 기능들에 대하여 Why? 그 내용들을 사용했는지를 첨부

  8. Evaluation ( 검증 과정 ) 에 대하여.

  9. Generalization ( 일반화 ) 과정.
    • 다른 예시를 통해, 이를 일반화 할 경우.
    • 저자의 주장을 들음
  10. Discussion 섹션에 대한 요약
    • Key: Summaries 의 형식으로, 이를 요약
    • 이는, 논문에 대한 방어의 섹션이기도 함.
    • 시스템 한계에 대한 정의
  11. Contributions 에 대하여.
    • 이 논문이 기여한점에 대하여
  12. Strenth point / Weak Point
    • 강점 / 약점 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정리.
    •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과 해당 논문만의 장점을 Strength - Point 로,
    • 약점으로는, 최근의 연구 내용과 이 논문이 이에 대하여 떨어지는 점에 대하여 적어도 될듯 함.
    • 혹은, 뻔한(당연한) 내용에 대해서 까도될듯함.
    • 현실에 적용하기 힘들다. 같은 내용들도 될듯함.
  13. In-Depth Review
    • 이 논문을 발전시킬 수 있을 방법.